쌀국수가 코딩배우며 개발일기 쓰는곳 RSS 태그 관리 글쓰기 방명록
IT (2)
2021-06-20 11:50:51

VMware Workstation 15.5 Pro

- Host Os (주인 컴퓨터) / Guest OS (가상 컴퓨터)


시작 화면 메뉴
-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새로 만들기)
- Open a Virtual Machine (불러오기)
- Connect to a Remote Server (다른 컴퓨터에서 불러오기)

 

Snapshot Manager (스냅샷)
- 지정한 시간대의 설정값으로 돌아갈 수 있음

 

디스크 파티션 분할
- 윈도우 설치 시 디스크 파티션을 나눌 땐 '새로 만들기'로 분할해준 뒤 '새로고침' 및 생성된 파티션 클릭 후 '포맷'
이동식 미디어 장치

 

VMware Tools 변환
- 드라이브 선택 후 VMware 내의 'VM' 메뉴 선택 및 'VM ware Tools installation' 선택 후 변환된 드라이브 실행
- 표준 설치 진행 후 컴퓨터 재부팅
- 자유롭게 호스트와 게스트로 커서 이동 및 자원 공유 가능
- 화면 해상도가 자동으로 조절됨


가상머신 새로 만들기 (Typical type)

Type (타입 선택)
- Typical (일반 권장 타입)
- Custom (사용자 지정 타입)

 

Guest Operating System Installation (가상 컴퓨터 운영체제 설치 방식 설정)
- Installer From (CD 설치 방식)
- Installer disc image file (ISO 설치 방식)
- I will ins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 (나중 선택 방식)

 

Select a Guest Operating System (가상 컴퓨터 운영체제 종류 선택)
- Microsoft Windows (마이크로 소프트 윈도우)
- Linux (리눅스)
- VMware ESX (VMware 가상서버)
- Other (그 외)

 

Name the Virtual Machine (가상 머신 이름 및 위치 지정)
- Virtual machine name (가상 머신 이름)
- Location: (가상 머신 설치 경로)

 

Specify Disk Capacity (디스크 용량 지정)
- 30~60 GB 사이 권장
-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 : 관리하기 좋으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림
- Split virtual disk into multiple files : 관리하기 어려우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름

Ready to Create Virtual Machine (설정 최종 확인)

 

Customize Hardware... (하드웨어 직접 설정)
- 일반 실습용인 경우엔 USB controller, Sound card, Printer 삭제
- 앞에서 '나중 선택 방식'을 선택했을 경우엔 New CD/DVD (SATA) > Use ISO image file > 설치할 운영체제 ISO 파일 삽입 > Close > Finish

가상 머신 생성 완료 후 운영체제 설치
- 화면 따라서 64bit(평균)로 설치 진행 및 네트워크는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 후 완료


가상머신 새로 만들기 (Custom type)

Type (타입 선택)
- Typical (일반 권장 타입)
- Custom (사용자 지정 타입)

 

Choose the Virtual Machine Hardware Compatibility (가상 머신 하드웨어 버전 선택)
- Compatible products - 호환가능한 버전 나열
- Limitations - 현 버전에서 지원되는 스펙

 

Guest Operating System Installation (가상 컴퓨터 운영체제 설치 방식 설정)
- Installer From (CD 설치 방식)
- Installer disc image file (ISO 설치 방식) 
- I will ins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 (나중 선택 방식)

 

Select a Guest Operating System (가상 컴퓨터 운영체제 종류 선택)
- Microsoft Windows (마이크로 소프트 윈도우)
- Linux (리눅스)
- VMware ESX (VMware 가상서버)
- Other (그 외)

 

Name the Virtual Machine (가상 머신 이름 및 위치 지정)
- Virtual machine name (가상 머신 이름)
- Location: (가상 머신 설치 경로)

 

Firmware Type (펌웨어 유형)
- BIOS :키보드로 작업하는 유형이며 구버전임
- UEFI : 마우스로 작업하는 유형이며 신버전임

 

Processor Configuration (프로세서 구성 / CPU 설정)
- Number of processors (프로세서 수)
- Number of cores per processor (프로세서당 코어 수)
- Total processor cores (총 프로세서 코어 수)

 

Memory for the Virtual Machine (가상 시스템의 메모리)
- 사용자 환경에 따라 최소~권장 사이로 지정

 

Network Type (네트워크 유형)
- Use Bridged networking : 가상머신이 외부통신 할 때 실제 우리 컴퓨터에 NIC(랜카드)를 이용해서 통시하는 네트워크 타입 (실제 환경)
- Use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 : 사설 IP주소를 공인 IP주소로 바꿔주는데 사용하는 통신망의 주소 변환기 (공인IP가 부족해서 사설로 IP를 변환해서 사용)
- Use host-only networking : 가상머신끼리만 통신하는 환경, 즉 외부통신은 안됨 (내부테스트를 위해 사용)
- Do not use a network connection : 선택하지 않음

Select I/O Controller Types (I/O 컨트롤러 유형 선택)
- I(input)/O(output)
- 메인보드에 있는 장치를 선택하는 과정
- 기본값인 'LSI Logic SAS' 선택해도 무방

 

Select a Disk Type (디스크 유형 선택)Vritual disk type
- IDE : 구형하드 연결규격 방식
- SCSI : 서버용 하드
- SATA : 개선판 (가정용)
- NVMe : 스틱형 SSDDisk
- Create a new virtual disk (새 가상 디스크 생성)
- Use an existing virtual disk (기존 가상 디스크 사용)
- Use a physical disk (실제 디스크 사용)

 

Specify Disk Capacity (디스크 용량 지정)
- 30~60 GB 사이 권장 
-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 : 관리하기 좋으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림
- Split virtual disk into multiple files : 관리하기 어려우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름

 

Specify Disk File (디스크 파일 지정)

- 사용자 설정에 맞춰 경로 지정

 

Ready to Create Virtual Machine (설정 최종 확인)

 

Customize Hardware... (하드웨어 직접 설정)
- 일반 실습용인 경우엔 USB controller, Sound card, Printer 삭제
- 앞에서 '나중 선택 방식'을 선택했을 경우엔 New CD/DVD (SATA) > Use ISO image file > 설치할 운영체제 ISO 파일 삽입 > Close > Finish

 

가상 머신 생성 완료 후 운영체제 설치
- 화면 따라서 64bit(평균)로 설치 진행 및 네트워크는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 후 완료

'개발일기 > VMwa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ware] 리눅스 설치  (0) 2021.07.05
[CMD] 바이러스 만들기 및 응용 실습  (0) 2021.06.20
2021-06-06 09:02:12

01. IT의 이해

IT (Information Technology)
- 정보를 생산해서 저장 및 처리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 정보를 생산해서 저장 및 처리 + 공유
- C는 네트워크를 의미

 

ICT 산업

[빅데이터]
- 기존의 시스템으로는 수집, 저장, 분석 따위를 수행하기가 불가능할 만큼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의미
- 우리 삶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음

관련 서비스
Flu Trend Service - 구글의 독감 트렌드 서비스
- 사용자들의 검색 단어들의 통계를 바탕으로 독감 유행을 미리 인지
퀵드로우 - 인공지능이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머신러닝 학습으로 통해 낙서를 맞추는 사이트
오토드로우 - 인공지능이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낙서를 쉽게 그림으로 그려주는 사이트

 

[클라우드]
-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환경
- 이전엔(땅으로 비유) 데이터를 저장하여 전달할 땐 USB 등으로 공유했음, 최근엔(구름으로 비유) 데이터를 저장하여 인터넷이 연결되는 어디서든 공유가 가능함
- 서버 장비의 수용 가능 인원이 초과할 경우 컴퓨팅 리소스를 사용함 (클라우드를 통해 서버를 빌려 쓰는것)

 

[스마트팜]
- IT기기를 통해 농작물의 성장 환경을 적정하게 원격 제어하고 최적의 환경을 유지하는 농장

→ ICT 산업은 현재 광범위한 분야로 확장 및 다양한 산업들과 융합되어 발전


02. 시스템의 구성

- 시스템 : 어떤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기계적인 요소의 집합체

 

[하드웨어 HW]
- 컴퓨터를 구성하는 모든 기계 장치를 통틀어 이르는 말

하드웨어 종류
입력 장치 -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컴퓨터의 처리 장치에 데이터를 주는 장치
- 스캐너, 마우스, 키보드 등
제어 / 연산 장치 (CPU) - 데이터를 제어하고 연산을 수행, 처리하는데 필요한 장치
- 계산기 등
- 입력 → Bus Interface(통로) → ALU(연산 장치) → Register(임시기억 장치) → Control Unit(통제,제어 장치) → Bus Interface(통로) → 출력
기억 장치 - 데이터를 저장하는데에 이용되는 장치
- 주기억 장치 (ROM, RAM)
- 보조기억 장치 (하드디스크, SSD)
출력 장치 - 데이터가 처리되어 나온 결과를 사람이 알 수 있도록 보여주는 장치
- 모니터, 스피커 등

 

[소프트웨어 SW]
- 컴퓨터를 통제하거나 컴퓨터에 명령을 내려서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종류
시스템 소프트웨어 -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 역할
- 운영체제(Windows, Linux 등)
- 내부 기능의 통제와 응용 소프트웨어의 실행
응용 소프트웨어 - 특정한 목적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
- 게임, 카카오톡, Microsoft 프로그램 등
-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없으면 실행되지 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