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국수가 코딩배우며 개발일기 쓰는곳 RSS 태그 관리 글쓰기 방명록
전체 글 (39)
2021-07-11 21:32:26
문제
✥✥✥✥✥✥✥✥✥✥✥✥✥✥✥✥✥✥✥✥✥✥✥✥✥✥✥✥✥✥
국어 점수 입력 : 70
수학 점수 입력 : 86
과학 점수 입력 : 90
✥✥✥✥✥✥✥✥✥✥✥✥✥✥✥✥✥✥✥✥✥✥✥✥✥✥✥✥✥✥


평균 점수는 82.0 점 입니다.

 


풀이

print("✥"*30) #꾸미는 용도 입니다.
A = int(input("국어 점수 입력 : "))
B = int(input("수학 점수 입력 : "))
C = int(input("과학 점수 입력 : "))
print("✥"*30) #꾸미는 용도 입니다.
print()
print("평균 점수는", (A+B+C)/3, "점 입니다.")

*input("내용")은 사용자가 값을 입력하도록 하기위한 명령어 입니다.

*input을 감싼 int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정수로 변환하기 위한 명령어 입니다.

2021-07-11 21:28:17
문제
샤이니 만세만세만세~~~~~

 


풀이

A = "샤이니"
B = "만세"
C = A+" "+B*3+"~"*5
print(C)

*" "는 A와 B 사이에 띄어쓰기를 하기 위함입니다.

2021-07-11 21:26:09
문제
A는 20 입니다.
B는 3 입니다.


A + B = 23
A - B = 17
A * B = 60
A / B = 6.666666666666667
A // B = 6
A % B = 2
A ** B = 8000

 


풀이

A = 20
B = 3
print("A는",A,"입니다.")
print("B는",B,"입니다.")
print()
print("A + B =", A+B)   #더하기
print("A - B =", A-B)   #빼기
print("A * B =", A*B)   #곱하기
print("A / B =", A/B)   #나누기
print("A // B =", A//B)  #몫
print("A % B =", A%B)   #나머지
print("A ** B =", A**B)  #제곱

*print() 는 줄바꿈의 개념으로 사용합니다. (해당 줄을 공백으로 비워둠)

*# 뒤에 붙는것들은 주석으로 처리됩니다. (다른 개발자에게 무언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

2021-07-11 21:20:43

 

문제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쌀국수 입니다.
제 나이는 999 입니다.
제 직업은 매운쌀국수 이며, 취미는 쌀국수 먹기 입니다.

 


풀이

name = "쌀국수"
old = "999"
job = "매운쌀국수"
hobby = "쌀국수 먹기"

print("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name, "입니다.")
print("제 나이는", old, "입니다.")
print("제 직업은", job, "이며, 취미는", hobby, "입니다.")

 

*변수는 수많은 코드에서 같은 값을 한 번에 변경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변수명은 작업하기에 효율적인 이름 아무거나 작성하시면 됩니다.

*name(변수명) = "(값)"

2021-07-11 21:12:47
문제
\('.')/

 


풀이

 

print("\\('.')/")
print('\\(\'.\')/')

*문자열로 출력하고 싶은 따옴표의 앞에는 역슬래쉬(\)를 써주어야 합니다.

2021-07-05 23:48:12

리눅스

- 1991년 리누스 토르발즈가 버전 0.02을 공개한 유닉스 기반 개인컴퓨터용 공개 운영체제
- 마운트 작업 : 하드디스크 추가 시 인식하는 작업 (윈도우는 자동 인식 기능이 있음)
- 일반 사용자 계정 :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일반적인 사용자 계정으로 단순 사용 계정이기에 제한이 굉장히 많음
관리자 계정 (Root) : 시스템의 전반적인 모든 설정들을 변경/생성/삭제 등의 모든 권한을 가진 말 그대로 슈퍼 유저 계정

기본 명령어

명령어 이름 설명 사용법
pwd 자신의 현재 위치를 알려주는 명령어  
cd 자신의 현재 위치 혹은 경로를 바꾸고 싶을때 사용하는 명령어 cd '이동하고 싶은 경로'
ls 자신의 현재 위치에 있는 디렉터리 내의 내용물들을 출력하는 명령어 ls '확인하고 싶은 디렉터리 경로'
mkdir 폴더 생성 명령어 mkdir '만들고 싶은 위치 경로'/'생성할 폴더명'

 


리눅스용 가상머신 새로 만들기 (Typical type)

 

Type (타입 선택)
● Typical (일반 권장 타입)

○ Custom (사용자 지정 타입)

 

Guest Operating System Installation (가상 컴퓨터 운영체제 설치 방식 설정)
○ Installer From (CD 설치 방식)
○ Installer disc image file (ISO 설치 방식)
● I will ins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 (나중 선택 방식)

 

Select a Guest Operating System (가상 컴퓨터 운영체제 종류 선택)
○ Microsoft Windows (마이크로 소프트 윈도우)
● Linux (리눅스) / Version : CentOS 7 64-bit 선택 (2021년 기준)
○ VMware ESX (VMware 가상서버)
○ Other (그 외)

 

Name the Virtual Machine (가상 머신 이름 및 위치 지정)
- Virtual machine name (가상 머신 이름)
- Location: (가상 머신 설치 경로)

 

Specify Disk Capacity (디스크 용량 지정)
- 20 GB  권장
○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 : 관리하기 좋으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림
● Split virtual disk into multiple files : 관리하기 어려우나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름

Ready to Create Virtual Machine (설정 최종 확인)

 

Customize Hardware... (하드웨어 직접 설정)
- 일반 실습용인 경우엔 USB controller, Sound card, Printer 삭제
- 앞에서 '나중 선택 방식'을 선택했을 경우엔 New CD/DVD (SATA) > Use ISO image file > 설치할 운영체제 ISO 파일 삽입 > Close > Finish


리눅스 설치하기 (CentOS 7)

 

첫 실행 화면
● Install CentOS 7 (CentOS 7 설치)

○ Test this media & install CentOS 7 (테스트 및 CentOS 7 설치)
○ Troubleshooting (문제 해결)

 

설치 과정
- '설치 대상' 진입 후 '파티션을 설정합니다.' 체크 후 완료
- '새로운 CentOS 7 설치' 화면에서 '표준 파티션' 선택 후 '+' 버튼 클릭
- '새 마운트 지점 추가' 내의 '마운트 지점' 'swap'으로 지정 및 '용량' '2048' 지정 후 '마운트 지점 추가' 클릭
- 다시 '+' 버튼 클릭 후 '새 마운트 지점 추가' 내의 '마운트 지점' '/'으로 지정 및 '용량' 지정하지 않고 '마운트 지점 추가' 클릭
- 완료 및 '변경 사항 적용' 클릭
- '소프트웨어 설치' 진입 후 '서버 - GUI 사용' 체크 후 완료 및 '설치 시작' 클릭
- 'Root 암호' 및 '사용자 생성' 설정 후 라이센스 동의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하기

 

설정 과정
- VMware 상단 작업 표시줄의 'Edit' > 'Virtual Network Editor' 진입 및 'VMnet8' 선택 후 'Change Settings' 클릭
- 관리자 권한으로 진입 후 다시 'VMnet8' 선택
- NAT (shared host's IP address with VMs) 체크
- Connect a host virtual adapter to this network ... 체크
- Use local DHCP service to distribute IP address to VMs 체크
- Subnet IP : 192.168.10.0 으로 설정 후 'NAT Settings...' 클릭
- Getaway IP : 192.168.10.2 으로 설정 후 'OK' 클릭
- 리눅스 내의 '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설정' > '네트워크' 진입 후 '유선' 하단의 설정 아이콘 클릭
- 'IPv4' > 'IPv4 방식' '수동' 체크 > '주소 : 192.168.10.128' '네트마스크 : 255.255.255.0' '게이트웨이 : 192.168.10.2' > '네임서버(DNS) : 8.8.8.8' 으로 설정 후 '적용' 클릭 및 '유선' 하단의 스위치 ON

'개발일기 > VMwa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D] 바이러스 만들기 및 응용 실습  (0) 2021.06.20
[VMware] VMware Workstation 15.5 Pro  (0) 2021.06.20